채플린 불로그

언제나 행복하게

언제나 행복하고 아름답게

가곡동영상

[스크랩]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바장조 K.467 (엘비라 마디간 OST) ★

채픒린 2018. 5. 3. 11:18



 "Elvira Madigan" OST          

Wolfgang Amadeus Mozart (27 January 1756 – 5 December 1791)

was an Austrian composer, pianist, violinist, conductor

Performed by The city of Prague (Czech Praha) Philharmonic Orchestra

演奏 : 프라하 필 하모닉 오케스트라 (체코 프라하 交響樂團)

Mozart, Piano Concerto No.21 2nd mvt in F major K.467, Andante

 2015年 11月 17日 作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KBS YTN      

Elvira Madigan : Concerto RV 271 L'Amoroso (사랑스럽고 우아한 연인) - Vivaldi

게시일 : 2012. 9. 1.

"Elvira Madigan" 1967. Stills and posters. Directed by Bo Widerberg.
"Concerto RV 271 L'Amoroso" composed by Antonio Vivaldi.

늦은 밤, 비발디의 음악이 감미롭다.
아무도 없는 집에서 음악을 듣자니 뒤에서 누군가 나타나 껴안아 줄 것 같은 밤이다.
    

 Elvira Madigan : The End - Sibylle Baier 

"The End" - performed by Sibylle Baier (쥐블레 바이어)      

                 Elvira Madigan : Den Blomstertid Nu Kommer

    게시일 : 2016. 6. 30.

    "Elvira Madigan" 1967, directed by Bo Widerberg.
    "Den blomstertid nu kommer"

    A Swedish hymn to the spring and summer season.

    This piece appeared in the film.

           꽃은 이제 1819 년에 나온다 (시편 394 장)

    Den blomstertid nu kommer(A Swedish hymn)

                           Den blomstertid nu kommer(덴 블룸스테이트 뉴 커머)꽃이 만발한 시간이 되었다.    

    꽃이 피는 시기의 가사는 스웨덴의 여름시편이며, 세속화된 스웨덴인들 사이에서 가장

    유명하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스웨덴의 학교 여름방학 전에 노래 부르기 때문입니다.

    핀란드에서도 방학할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처음 세줄은 핀란드어와 스웨덴어 학교에서 모두 방학할때 불러 집니다.

    이 노래는 1985년 7월 1일 스웨덴의 랜샤스터 (Ransäter )에서 열린 

    타게 엘란더( Tage Erlander) 전 총리 장례식에서 불러졌.

                                                Elvira Madigan : Waltz Op. 39 No. 15 - Brahms     

      게시일 : 2017. 9. 1.                                              

"Elvira Madigan" 1967, directed by Bo Widerberg.
"Waltz Op. 39 No. 15" composed by Johannes Brahms.
                             Elvira Madigan : O' Willow Waly

                       

    게시일 : 2017. 3. 1.             

    "Elvira Madigan" 1967, directed by Bo Widerberg.

    Starring Thommy Berggren and Pia Degermark.
    "O' willow waly" performed by Pamela Franklin and The Kingston trio.

          O Willow Waly ~ Ashley Serena

    O' Willow Waly

    We lay my love and I beneath the weeping willow.
    But now alone I lie and weep beside the tree.
    Singing 'Oh willow waly' by the tree that weeps with me.
    Singing 'Oh willow waly' till my lover return to me.
    We lay my love and I beneath the weeping willow.
    A broken heart have I. Oh willow I die, oh willow I die.
    작사 : Georges Auric / Georges Abel Louis Auric / Paul Dehn

    오 슬픈 버드나무

    우리는 내 사랑과 내 버드나무 밑에 누워 있다.
    그러나 이제는 혼자서 나무 옆에 거짓말을 하고 운다. 

    나에게 울음을 보내는 나무 옆에서 "오 슬픈 버드나무" 노래해. 
    나의 애인이 나에게 돌아갈 때까지 "오 슬픈 버드나무" 노래해. 

    우리는 내 사랑과 내 버드 나무 밑에 누워 있다. 
    나의 상한 마음. 버드 나무, 나는 죽는다, 버드 나무 나는 죽는다.


    1889년에 있었던 스웨덴의 젊은 귀족 식스텐 스파레 백작과 서커스단 처녀 엘비라 마디간의  
    비극적인 사랑의 실화를 영화화한 것으로, 1967년 Festival de Cannes (칸<깐느> 영화제)

    여우주연상(Pia Degermark),뉴욕 비평가협회 최우수작품상, 골든글로브 최우수작품상을 수상.


    "인간의 촬영술로는 다시 촬영할 수 없을 것 같은 최고의 아름다운 영상(Newsweek)"
    "절묘함이야말로 엘비라 마디간을 말할수 있는 유일한 언어다(New York Times)"
    "최상급 이라는 말을 빼고는 엘비라 마디간을 논할수 없다(Financial Times)"

    엘비라 마디간역의 피아 데게르마르크(스톡홀름 출생)가 영화 배우가 될 줄은 그 누구도 몰랐다. 

    감독 보 비델베르그가 피아 데게르마르크의 사진을 신문에서 처음 보았을 때, 그녀는 영화에

    한번도 나온 적이 없는 17살의 학생이었으며,스웨덴 왕립발레단원이었다.

    그녀는 보 베델베르그의 가슴을 설레게 할 만큼 아름다운 금발 미녀였고 모든 사람들이

    숭배할만한 눈부신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장차 어학을 공부하여 통역사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그녀는 엘비라 마디간역을 수락했고,놀랍게도 깐느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피아 데게르마르크는 완성된 영화를 보고 난 후, 이후 다른 영화에는 출연하지 않았다고

    알려졌지만 사실은 1976년도 까지 TV극 포함 총5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고 한다.

         

                              엘비라 마디간 : 1967년 스웨덴 영화                                                                       

                             귀족 출신의 젊은 장교 식스텐과 서커스단에서

                             줄을 타는 소녀 엘비라는 깊은 사랑에 빠진다.

                             전쟁의 혐오감과 무상함에 빠진 식스텐은 아내와 두 아이를 버린 채 탈영하고,

                             엘비라도 부모와 서커스, 명성을 버리고 식스텐과 도주한다.

                             오염된 사회를 벗어나 아름다운 사랑을 나누지만,

                             그들의 신분 차이는 결혼이라는 합법적 절차를 허락하지 않는다.

                             더우기 그들 앞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닥치기 시작한다.

                             결국 두 사람은 정열적이고 행복한 사랑을 간직한 채

                             사랑의 안식처를 찾아 두 발의 총성속에 사라진다. 

          

                         

                                    

                                                       

 

        

  

덴마크, 세인트 조지 교회 앞 오크나무 아래에 조성 된 엘비라 마디간 & 식스텐 스파레의 묘지      

1889년 사망, 위 영화 내용은 실화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바장조 K.467, 천천히 걷는 빠르기로)                             

                         모차르트 27편의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곡입니다. 물론 그 유명세는 영화

                         <엘비라 마디간>(1967) 덕택이지요. 이 영화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을 세계적인

                         히트곡으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미국의 빌보드 톱10에 까지 올라 갔을 정도입니다.

                         이 영화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을 세계적으로 유행시킨 것과 더불어, 당시 17살에

                         불과했던 발레리나 출신의 여배우 피아 데게르마르크를 단숨에 스타로 만들어 버립니다. 청순하기

                         이를 데 없는 외모의 그녀는 1967년도 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습니다. 


                         모차르트가 협주곡 21번을 작곡한 해는 빈에서 보낸 ‘생애 마지막 10년’의 딱 중간 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1785년입니다. 이 해에 모차르트는 3곡의 피아노 협주곡을 잇달아 써 냅니다. 20번부터

                         22번까지 입니다. 특히 21번은 20번을 작곡하고 난 후 불과 한 달도 안돼 세상에 첫선을 보입니다.

                         이렇게 속전속결로 걸작을 써냈던 것에 대해, 후대의 음악사가들은 대개 모차르트의 ‘천재성’이라는

                         맥락으로 해석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현실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말하자면, 당시의 모차르트에게 가족의 생활을 지탱하기 위해 가장 중요했던 두 개의 수입원은

                         피아노 레슨과 연주회였고, 그중에서도 연주회는 항상 새로운 레퍼토리를 선보여야 한다는

                         부담스러운 숙제였을 겁니다. 물론 그 연주회들은 모두 ‘예약’ 연주회였습니다. 올 손님들이 이미

                         정해진 연주회였다는 뜻이지요. 그들은 주로 귀족이나 부유한 상인들이었는데, 모차르트의

                         연주회에 단골로 찾아오던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니 모차르트는 지난번에 했던 곡을 다시 반복 할 수가 없었습니다.

                         게다가 지난번 연주했던 곡과 새로 선보일 곡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야 했습니다.

                         당연한 일이었을 겁니다. 지난번에 오셨던 손님이 이번에도 또 오셨는데, 분위기기 비슷한 곡을

                         잇따라 연주하면 손님들이 좀 실망하지 않겠습니까? 항상 뭔가 색다른 음식을 내놓아야 한다는

                         부담감을 모차르트가 느끼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 해 봅니다.

                         그것이 바로 20번에 이어 21번을 듣는 ‘핵심적 매뉴얼’이 됩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d단조(단조는 소문자로 씁니다)의 조성을 지닌 20번과 C장조

                         (장조는 대문자로 씁니다)의 조성을 가진 21번은 분위기가 완전히 딴판이라는 뜻입니다.

                         20번이 전반적으로 어둡고 격정적인데 비해, 21번은 맑고 밝아서 개구쟁이 같은 느낌마저 풍기는

                         곡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모차르트가 대책 없이 개구쟁이 짓을 한다는 얘기는 결코 아닙니다.

                         밝음의 정조(情操)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음악의 품격을 유지하는 것은 당연 합니다.

                         느린 2악장에서 보여주는 슬픔도 결코 신파로 빠지지 않으면서 애잔한 분위기를 고조 시킵니다.

                         협주곡 21번은 그렇게 ‘웃음과 슬픔의 2중주’라는 모차르트 음악의 요체를 선명하게 보여 줍니다.

소문자 적힌 것은 minor scale (단조 음계)                                                                    
            ==================================================              
  2015.11.17. 朴泳柱 作  2015.07.13. 朴泳柱 作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바장조 K.467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2 악장 K.622       
     ==================================================        
     1.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3번 2악장 사장조 K.216 아다지오                                                

                          2.모차르트 小夜曲 사장조 13번 작품 525,1악장 알레그로 (Eine Kleine Nacht musik)             

           3.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21번 마단조 작품 304 1,2악장(Allegro,Tempo di Menuetto)          

                          4.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中 편지의 이중창(저녁 산들바람은 부드럽게)      

        1 2   3  4          

    ==================================================        

 1악장 : allegro maestoso, 다장조, 4/4박자, 협주풍 소나타 형식.                                          
 ‘군대’라는 별칭의 이유가 됐을 만큼 행진곡풍으로 당당하게 문을 엽니다.                      

                         C장조의 으뜸화음으로 제시되는 주제부를 머릿속에 꼭 새겨두시기 바랍니다.                                       

           계이름으로 ‘도솔도미 파미레도시’입니다. 관현악 총주가 그 주제부를 여러 차례 반복한 다음                    
                  피아노가 산뜻하게 등장합니다. 기교적으로도 현란 합니다. 한데 잠시 후에 피아노 독주가 어두운                     
                 단조의 선율을 아주 잠깐 연주 합니다. 바로 그 지점, 피아노가 갑자기 선율적으로 어두워지는 부분도               
                머릿속에 새겨 두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그 우울한 정조는 금세 사라지고 다시 장조의 밝은 색채로                  
                  돌아 옵니다. 피아노가 보여주는 이런 색채감, 아울러 피아노와 관현악 파트가 주제 선율을                              
 서로 주고 받는 장면들에 집중하면서 1악장을 들으시면 되겠습니다.                                          
                                       
        2악장 : andante(천천히 걷는 빠르기로), 바장조, 4/4박자, 협주풍 소나타 형식                              
            그 유명한 안단테입니다. ‘엘비라 마디간’이라는 이름을 얻게 만든 악장.                                                 
    저음 현악기의 피치카토에 실려서 티없이 맑고 아름다운 제1주제가 제1바이올린으로 노래된다.         

 제2주제도 원조에서 같은 악기로 연주되어 그대로 피아노로 인계된다.                                                         

 4/4 박자이지만 셋잇단음표의 반주에 실려 마치 6/8 박자처럼 들리는 곡이다.                                            

              현악기들이 잔잔한 물결 같은 주제 선율을 노래하고 피아노가 이어 받습니다. 아무런 설명 없이                    
               그냥 들어도 귀에 쏙 들어오는 아름다운 악장입니다.                                                                             
                                                          
 제3악장 : allegro vivace assai, 다장조, 2/4박자, 론도 소나타 형식.                                  
                 마지막 악장은 약간 유머러스한 느낌으로  시작하지요. 현악기들이 짧은 음형을 새가 지저귀듯이                     
                 노래하고 관악기들이 거기에 가세하면서 음량이 점점 커집니다.                                                                
 그리고 드디어 피아노가 등장하지요.  역시 약간은 수다스러운 느낌으로                                      
                   피아노가 달려 나가고 관현악이 리드미컬하게 조응합니다. 그렇게 피아노와 관현악이 대화를 주고                     
                    받다가 매우 화려하고 강력한 느낌으로 곡을 마무리 하지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1악장은 행진곡풍의 당당함, 2악장은 애틋한 슬픔,                                             
3악장은 경쾌하면서도 약간 수다스러운 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                      

Mozart - Piano Concerto No. 21, K.467 / Yeol Eum Son

게시일 : 2014. 12. 18.

2011 Tchaikovsky Competition - Piano Round II, Phase II
Mozart - Concerto for Piano and Orchestra No. 21 in C major, K.467
Yeol Eum Son (South Korea)

      1st mvt  0:00 - Allegro maestoso    2nd mvt 14:46 - Andante  

      3rd mvt 21:19 - Allegro vivace assai 

  SEONG-JIN CHO - Mozart Piano Concerto # 21 in C Major 2014

  게시일 : 2016. 10. 16.

  When South Korean pianist Seong-Jin Cho won the 17th International

  Chopin Piano Competition in 2015, he joined the august company of such

  prior winners as Martha Argerich, Maurizio Pollini, and Garrick Ohlsson.
  Here he plays the Mozart Piano Concerto K.467 in C major.

  Wonderful tempos are displayed here as well as fine, well thought out

  cadenzas. ( Rubenstein Int. Piano Competition).
  Selected comparison: Eeol Eum Son

  1st mvt - Allegro maestoso   2nd mvt - Andante  

  3rd mvt - Allegro vivace assai 

       Mozart - Piano Concerto No. 21 (Full Length) Arthur Rubinstein

   게시일 : 2015. 6. 25.

   Wolfgang Amadeus Mozart - Piano Concerto No. 21 in C major, K. 467
   Piano : Arthur Rubinstein
   Conductor : Alfred Wallenstein
   RCA Victor Symphony Orchestra
   1st mvt 
0:00 - Allegro maestoso   2nd mvt 14:46 - Andante  

   3rd mvt 21:19 - Allegro vivace assai                             

      ==================================================        

                         쾨헬번호 작성자 :                                                                                      

  Ludwig Alois Friedrich Ritter von Köchel (14 January 1800 – 3 June 1877)

        was an Austrian musicologist, writer, composer, botanist and publisher

오스트리아의 음악 연구쾨헬1862년에 모차르트의 전 작품에 연대순으로 붙인 일련의 번호  

  약호는 K:Köchel Number (영어), KV:Köchel-verzeichnis (독일어) [비슷한 말] K1-K6

                           




출처 : 영주 블로그
글쓴이 : 朴泳柱 원글보기
메모 :